티스토리 뷰
목차
어느 날 신체 부위에 돌출이 된 것을 느끼신다면 탈장을 의심해보셔야 합니다. 작았던 돌출부위가 점점 더 커지게 되고, 그로 인한 고통은 말할 수 없을 정도이기 때문입니다. 탈장의 증상, 부위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
탈장 원인
탈장이란 신체의 장기가 제자리에 위치하지 않고 다른 조직을 통해 빠져 나오거나 돌출이 되는 증상을 탈장이라고 합니다. 신체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은 복벽에 발생을 하는데 복벽 탈장은 복강을 둘러싼 근육, 근막 사이에 복막이 주머니 모양으로 돌출이 된 상태입니다.
가장 대표적으로 발생하는 곳이 사타구니(서혜부) 부위에 발생하는 사타구니(서혜부)탈장입니다. 이 외에 대퇴탈장, 수술 상처 부위에 생기는 반흔탈장, 배꼽 부위에 발생하는 제대탈장 등이 있습니다.
복벽에 발생을 하는 탈장은 복벽에 국소적으로 약해진 틈 사이로 지방조직, 복막이 덮인 장기가 돌출이 되며 발생을 하게 됩니다.
복벽이 약해지는 이유는 성장과정에서 소멸이 되거나 축소되어야 하는 구조물이 그대로 남아 있어서 비정상적인 공간이 생겨나기 때문입니다.
전립선 비대, 임신, 복수 등 복강 내압을 만성적으로 높여서 탈장이 빈번하게 생길 수 있고, 비만이나 무거운 물체를 들거나 장기간 서서 일을 하거나 변을 볼 때 심하게 힘을 주는 만성변비, 만성기침 등이 탈정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탈장 증상
탈장 증산은 탈장이 발생하는 부위마다 다르게 나타납니다. 초기에는 작고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작게 돌출이 됩니다. 피부 밑으로 부드러운 덩어리가 만져지고 통증은 거의 없습니다.
탈장이 진행되다보면 복벽 내부 내용물의 압력이 높아지고 덩어리도 점점 더 커지기 시작합니다. 초기에는 튀어나온 부분을 누르면 정상위치로 되돌아가지만, 시간이 지나면 돌아가지 못하는 상태가 되면서 혈액 순환에 지장이 발생합니다.
탈장 증상이 장기간 지속되면 장 또는 장기가 괴사하고 돌출부위에 압통이 생기고 구토, 발열, 오심, 복통 등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서혜부탈장
서혜부탈장은 장이나 방광이 복벽을 통하거나 사타구니 부위로 튀어나오는 현상입니다. 서혜부탈장의 90% 이상을 차지합니다. 남성과 여성 모두 사타구니 운하를 가지고 있지만, 서혜부 탈장은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영향을 많이 미칩니다.
특히 허리를 구부리거나 기침을 하거나 무거운 짐을 들 때, 서혜부 부위가 부풀어 오르게 되어 고통스러울 수 있으며, 선천성 탈장은 위험하지 않을 수 있지만, 스스로 개선되지 않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서혜부탈장 증상으로는 사타구니 한쪽 또는 양쪽의 장은 팽대부로, 누우면 크기가 커지고 사라질 수 있으며, 남성의 경우 부풀어 오르거나 확대된 음낭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서혜부 부근의 탈장이 일어난다면 아래의 증상들이 발생합니다.
- 팽대부에서 타는 듯한 고통
- 허리를 굽히거나 기침을 하거나 무거운 물체를 들 때 사타구니에 불편함
- 똑바로 서있거나 기침을 하거나 무리를 할 때 더 뚜렷해지는 치골 양쪽의 볼록함
- 사타구니에 나른함 또는 압박감
- 남성의 경우 고환 주변에 생기는 통증과 붓기
항문탈장
항문탈장이란 항문 점막 전체가 항문 밖으로 빠져 나오는 것으로 탈항이라고도 말합니다. 항문탈장과 치핵(치질)과 차이점은 치핵의 증상이 더 심해져 전체의 항문 점막이 항문 밖으로 완전히 빠져나와 있다는 것입니다.
항문탈장을 의심해 볼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은 변을 봐도 시원하지 않고 뭔가 남아 있는 것 같은 잔변감입니다. 문제는 이보다 심하고 괴로운 변실금을 들 수 있습니다.
요실금은 많은 분들이 들어봐서 아시겠지만, 변실금은 소변 대신, 대변이 나도 모르게 조금씩 배출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또한 항문 주변이 가렵고 배변 중 출혈이 생기기도 하며 극심한 변비가 있을 경우 배변 시 고통스러울 수 있습니다. 의자에 앉기 힘들어 여로 모로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반흔탈장
반흔탈장은 수술한 상처 부위의 근육이 벌어지며 생기는 탈장으로, 주로 충수돌기 절제술이나 장을 잘라내는 수술등 개복 수술을 한 상처 부위에 발생합니다.
옆구리, 방광 수술 후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봉합한 근육층이 감염 혹은 손상되어 벌어지면서 발생하며, 재발확률이 높습니다.
반흔탈장의 원인은 개복 수술 후 절개한 복벽을 다시 봉합할 때 근육층을 아주 튼튼하게 봉합합니다. 그러나 수술 부위가 감염되거나, 봉합한 근육이 너무 약해져 있거나, 수술 직후 기침이나 복수 등으로 인해 복압이 상승하면 근육층이 터져서 부분적으로 벌어집니다.
그 결과 복강 내의 장기가 이 틈으로 빠져나와 피부 아래층까지 밀려 나옵니다.
반흔탈장의 경우 수술 상처 바로 아래쪽에서 탈장이 관찰됩니다. 대개 활동하거나 울 때 배가 볼록하게 나옵니다. 자리에 누우면 다시 튀어나온 장기가 다시 복강 내로 들어가 볼록한 모양이 사라집니다.
반흔탈장이 시작되는 초기에는 뻐근한 통증이 있을 수 있고, 밀려 나온 장에서 꼬르륵 거리는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드물게 갑자기 심한 통증이 나타난다면 탈장 내공을 통해 나온 장이 제자리로 들어가지 못하고 내공에 끼인 상태인 감돈인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이 상태가 지속되면 장에 부종이 발생해 더욱 조이고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 괴사(교액)되기도 합니다.
반흔탈장은 가능한 한 빠른 시일 내로 수술을 진행해 교정해야 합니다. 시간이 지체되어 탈장 부위가 커지면 장이 빠져나오는 근육의 틈이 커지기 때문에 교정 수술이 더욱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반흔탈장이 크지 않은 초기일 때에 인공막 마개로 탈장 부위를 막아주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그러나 탈장이 진행된 상태에서는 근육을 꿰맨 후 인공막 천으로 꿰맨 근육층 안팎을 보강해 주는 수술을 진행해야 합니다.
벌어진 근육을 단순히 당겨서 꿰매거나 근육을 꿰맨 후 근육층의 바깥쪽에만 인공막을 대주면 재발할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