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전력직접구매제도는 최근 산업계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에너지 정책 중 하나입니다. 특히 전기 사용량이 많은 대기업 및 산업체를 중심으로 이 제도 도입의 실효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전력직접구매제도'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기업 입장에서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어떻게 도입할 수 있는지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전력직접구매제도

     

    ■ 전력직접구매제도란?

    전력직접구매제도는 수전설비 용량이 30,000kVA 이상인 대규모 전기 소비자가 한국전력을 거치지 않고 전력거래소를 통해 전기를 직접 구매하는 방식입니다. 기존에는 한전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았다면, 이제는 전기 도매시장에서 직접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전환되는 것입니다. 구매 가격은 시장계통가격(SMP)을 기준으로 하며, 일정한 요금 할인 효과가 기대됩니다.

     

     

    ■ 도입 배경과 필요성

    2020년 이후 산업용 전기요금이 꾸준히 인상되면서 기업들의 부담이 커졌습니다. 특히 2020년 12월 이후 약 70% 가까운 요금 인상이 이뤄졌고, 이에 따라 보다 저렴하고 효율적인 전력 구매 방식이 필요해졌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5년부터 전력직접구매제도를 공식 도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전력직접구매제도

     

    ■ 기업 입장에서의 장점

    • 전기요금 절감: SMP 기준의 전력 가격이 한전 요금보다 저렴할 경우, 전기요금 절감 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전력 사용의 유연성 증가: 다양한 전력공급자와의 계약을 통해 에너지 포트폴리오를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 재생에너지 연계 가능: RE100 등 ESG 경영에 필요한 재생에너지 전력 구매가 가능해집니다.

    ■ 우려되는 단점

    • 요금 변동성 리스크: SMP는 시간대별로 변동되므로, 예측이 어려워 전기요금이 오히려 상승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 복잡한 계약 구조: 전력거래소 및 발전사업자와의 계약 체결 과정이 복잡하고, 법률적 검토가 필요합니다.
    • 중소기업 대상 제외: 수전설비 용량 기준으로 인해, 중소기업은 제도 혜택을 보기 어렵습니다.

     

    전력직접구매제도

     

    ■ 도입 절차

    1. 기업은 전력사용 데이터를 분석해 수전 용량이 30,000kVA 이상인지 확인합니다.
    2. 한국전력과의 기존 계약 내용을 검토한 후, 전력거래소 및 발전사와 계약 절차를 시작합니다.
    3. SMP 기반 정산 시스템과 리스크 관리 체계를 마련하고, 법률 자문 및 컨설팅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정책 전망 및 마무리

    정부는 향후 RE100, 탄소중립 등 글로벌 친환경 정책과 연계해 전력직접구매제도를 점차 확대할 예정입니다. 장기적으로는 중소기업에도 확대 적용될 가능성이 있으며, 전력 시장의 구조적 전환점이 될 수 있습니다.

     

    전력직접구매제도는 단순한 전기요금 절감 수단을 넘어, 에너지 주권 확보와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기업의 에너지 전략에 있어 꼭 검토해봐야 할 제도입니다.

     

    전력직접구매제도

    반응형